Between 1916 and 1926, Yeongdo experienced a period of many land changes and construction. Japanese capitalists had reclaimed the land and built a residential area, shipyards as well as many factories within the small 140 square meters area. The factories produced essential items for day-to-day life as well as products necessary for the ship and fishing industry. Here is a list of the most popular products manufactured and commercialized in what is currently Kangkangee.
1916년부터 1926년까지 영도는 많은 토지이동과 건설의 시기를 겪었다. 일본 자본가들은 그 땅을 개간하여 140제곱미터의 작은 땅에 주거 지역, 조선소, 많은 공장을 세웠습니다. 공장에서는 생활필수품과 선박 및 어업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했습니다. 다음은 현재 Kangkangee에서 제조 및 상용화 된 가장 인기있는 제품 목록입니다.
Several salt manufactories were built in Yeongdo by the Japanese. Salt from Daepyeong-dong allowed the fishermen to preserve some of the fish they caught. One of the most well know salt producers, “Herbie Salt manufactory” was built in 1906 i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aepyeong Hanaville Apartment.
일본은 영도에 여러 제염소를 세웠습니다. 대평동의 소금은 어부들이 잡은 물고기 중 일부를 보존할 수 있게 해주었다. 1906년 현재의 대평하나빌아파트 자리에 지어진 '허비소금제조소'는 가장 유명한 소금 생산지 중 하나입니다.
A match factory by the name of “Busan Inchon Co., Ltd” was installed in 1935 in the present location of the bowling alley and the golf field in Daepyeong-dong. The matches were commercialized and bought not only in Yeongdo but in all of Busan.
대평동 볼링장과 골프장이 있던 자리에 1935년 '부산인촌주식회사'라는 성냥공장이 세워졌다. 성냥은 영도뿐만 아니라 부산 전역에서 상품화되어 구매되었다.
A seafood processing company called "Dongchan Gongyoung Jo" was founded in Daepyeong-dong in 1932. The large-scaled company used to buy fish from the southeast coast in order to transform it into processed goods.
1932년에는 "동찬공영조"라는 수산물 가공 회사가 대평동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대규모 회사는 동남부 해안에서 어를 구매하여 가공 제품으로 변환하였습니다.
A large pot manufacturing company was installed in the current Daedong apartment area after the Japanese liberation. The company flourished for a long time to the point where it was said that the entire country cooked rice in pots coming from Yeongdo.
일본의 해방 이후에는 대동 아파트 지역에 대형 솥 제조 회사가 설치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오랜 기간 동안 번성하여 전국이 영도에서 나온 솥으로 밥을 짓는다는 소문까지 있었습니다.
Another important factory emerged in Yeongdo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The manufacturing company produced the rope used in the ships of Busan’s coast.
일본의 점령 이후에는 영도에 또 다른 중요한 공장이 등장했습니다. 이 제조 회사는 부산 해안의 배에 사용되는 로프를 생산했습니다.
A soy sauce producer used to be located in what today is the last stop of the Daepyeong-dong bus. They soy sauce produced by this company was distributed in the Yeongdo, Jung, Dong and Seo districts.
오늘날 대평동 버스의 종착점에 위치한 곳에는 간장 제조업체가 있었습니다. 이 회사에서 생산된 간장은 영도, 중구, 동구 및 서구에서 유통되었습니다.
During the period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 brewery was situated close to the final stop of the Daepyeong-dong town bus. This brewery engaged in the manufacture of beverages, as well as conducting wholesale and retail transactions to sell their products. Along with production, the brewery also carried out commercial activities, catering to both wholesale and retail customers.
일제 강점기에는 대평동 버스의 종착점 근처에 양조장이 위치했습니다. 이 양조장은 음료 제조뿐만 아니라 도매 및 소매 거래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활동도 진행했습니다. 양조장은 생산과 함께 도매 및 소매 고객들을 대상으로 상업적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The first Korean album ever was released in Yeongdo in 1946. Yaincho, a well-known lyricist from Hwanghae-do, created Corona Records. One of the most prominent albums produced by this company was "Busan Blues" sung by Suk-Hee Lee, which was released in 1949. This album was representative of the high-quality music that was being produced by Corona Records during that time.
1946년에 한국에서 최초로 앨범이 출시된 곳은 영도입니다. 황해도 출신의 유명한 작사가인 야인초씨가 코로나 레코드를 창립했습니다. 이 회사에서 생산된 가장 유명한 앨범 중 하나는 이석희가 부른 "부산 블루스"로, 이는 1949년에 발매되었습니다. 이 앨범은 당시 코로나 레코드가 생산한 고품질 음악을 대표하는 작품이었습니다.
In 1909, a Korean branch of the American Standard Oil Company was established by Park Ki-Jong in Busan. The founder wanted to harness the geographical advantage of Yeongdo, so he worked on attracting more companies to establish their shipyards in the area. In addition, Park worked hard to protect the economic interests of the Korean Joseon dynasty from the Japanese. To do this, he tried to control the fuel business of the Yeongdo ferry.
1909년에 박기종이 부산에 미국 스탠더드 오일(American Standard Oil)의 한국 지점을 설립했습니다. 창립자는 영도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더 많은 회사들이 이 지역에 조선소를 설립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또한, 박기종은 일본으로부터 조선 시대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열차연안의 연료 사업을 통제하려고 노력했습니다.